도 3의 (a)는 제1 내용기의 외관도, 도 3의 (b)는 도 3의 (a)의 IIIB-IIIB 단면도, 도 3의 (c)는 도 3의 (b)의 IIIC-IIIC 단면도, 도 3의 (d)는 도 3의 (a)의 IIID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.
도 4의 (a)는 제2 내용기의 외관도, 도 4의 (b)는 도 4의 (a)의 IVB-IVB 단면도, 도 4의 (c)는 도 4의 (a)의 IVC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.
도 5는 실시형태의 제2 내용기의 외관도이다.
도 6은 변형예의 제2 내용기의 외관도이다.
도 7은 내부공간의 상부 양단이 안쪽으로 움푹 패인 형상의 파우치의 외관도이다.
도 8의 (a)는 내부공간의 가로폭이 일정한 형상의 파우치의 외관도, 도 8의 (b)는 내부공간의 하부가 아래쪽으로 서서히 좁아지는 형상의 파우치의 외관도, 도 8의 (c)는 내부공간의 상부가 위쪽으로 서서히 좁아지고 하부가 아래쪽으로 서서히 좁아지는 형상의 파우치의 외관도이다.
도 9의 (a)는 내부공간의 하부가 원호형상으로 아래쪽으로 돌출되는 형상의 파우치의 외관도, 도 9의 (b)는 내부공간을 복수의 방으로 구분한 형상의 파우치의 외관도이다.
도 10의 (a)는 위쪽으로 서서히 좁아지는 형상의 잘록한 부분을 가지는 파우치의 외관도, 도 10의 (b)는 아래쪽으로 서서히 좁아지는 형상의 잘록한 부분을 가지는 파우치의 외관도, 도 10의 (c)는 위쪽 및 아래쪽으로 서서히 좁아지는 형상의 잘록한 부분을 가지는 파우치의 외관도이다.
도 11의 (a)는 내부공간을 상하로 복수의 방으로 구분한 형상의 파우치의 외관도, 도 11의 (b)는 내부공간을 좌우로 복수의 방으로 구분한 형상의 파우치의 외관도이다.
도 12의 (a)는 내부공간의 안쪽을 부분적으로 점형상으로 용착한 파우치의 외관도, 도 12의 (b)는 내부공간의 안쪽을 부분적으로 선형상으로 용착한 파우치의 외관도이다.
도 13의 (a)는 상부 및 하부의 각 양단이 직선형상으로 비스듬히 형성된 형상의 파우치의 외관도, 도 13의 (b)는 도 13의 (a)의 XIIIB-XIIIB 단면도이다.
도 14의 (a)는 변형예의 조인트 부재를 가지는 제1 내용기의 외관도, 도 14의 (b)는 도 14의 (a)의 XIVB-XIVB 단면도, 도 14의 (c)는 도 14의 (b)의 XIVC-XIVC 단면도, 도 14의 (d)는 도 14의 (a)와 같은 방향에서 본 막대형상부의 하단부의 확대도, 도 14의 (e)는 도 14의 (b)와 같은 방향에서 본 막대형상부의 하단부의 확대도, 도 14의 (f)는 도 14의 (b)와 같은 방향에서 본 막대형상부의 상단부의 확대도이다.
도 15의 (a)는 비율(T/D)이 1.0 미만인 경우의 제1 내용기의 단면도, 도 15의 (b)는 비율(T/D)이 1.0~3.0인 경우의 제1 내용기의 단면도, 도 15의 (c)는 비율(T/D)이 3.0을 웃도는 경우의 제1 내용기의 단면도이다.
도 16은 조인트 부재에 관한 시험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.
도 17은 복수의 내용물 중 하나를 외용기에 직접 수용한 구성의 이중 에어로졸 장치의 외관도이다.
도 18은 한쪽 파우치가 다른 쪽 파우치에 수용된 구성의 이중 에어로졸 장치의 외관도이다.